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화폐와 은행제도 경제이야기<경제블로그> 2편

by 텐확 2022. 3. 8.
반응형

화폐의 간략한 역사 이야기

화폐라는 말에서 바로 지폐나 주화를 연상하는 사람이 많지만, 인류 역사에서 이것들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 전의 일이 아니다. 비교적 연륜이 긴 주화의 경우에도 고작 몇천 년 정도의 역사를 가지고 있을 뿐이며 지폐는 18세기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유통되기 시작했습니다.

사람들이 처음에 교환의 매개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들은 쌀, 밀, 베, 소금, 가축 등의 상품이었습니다 이를 저희들은 상품화폐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것을 화폐로 사용하기에는 여러 가지의 불편함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화폐중 조개껍질 화폐 B.C 2350년에서 2050년 사이의 사용된것으로 예측이 되는 조개껍질 화폐

경제생활의 진화나 더불어 쌀이나 베 같은 상품 화폐를 대신해 등장한 것들이 바로 금, 은, 구리 등의 금속화폐입니다 무게로 달아 쓸 수 있는 금속은 다른 물건보다 화폐로 기능하기에 훨씬 더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급속히 상품화폐를 대체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금ㄹ이나 은 같은 귀금속을 주화의 형태로 만들면 운반하기 편리할 뿐 아니라 위조가 어려우며 변질되지도 않기 때문에 한동안 널리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영국의 화폐단위인 파운드의 어원이 무게 단위라는 사실은 바로 이와 같은 화폐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하지만 금속화폐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의 몇 가지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습니다. 우선 경제규모가 확대되면서 화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데, 금속화폐는 그 공급이 한정되어 실물 경제를 충분히 뒷받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귀금속의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광산을 개발해야만 했는데, 이에 상당한 비용 부담이 뒤따른다는 애로가 있었다. 또한 금화에서 조금씩 금을 긁어내 이득을 취하는 사람까지 등장하면서 시중에는 조악한 주화만이 유통되는 결과가 빚어지게 되었다.

금속화폐에 불편을 느낀 사람들은 18세기에 들어오면서 본격적으로 지폐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지폐는 주화의 여러 가지의 장점을 그대로 갖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이 매우 낮아 공급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까지 갖추고 있다. 지폐가 그 자체로 아무 가치가 없는 종이 한 조각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은 태환성을 통해서 해결할 수가 있었다. 태환성이란 요구만 있으면 지폐를 즉걱작으로 미리 예치된 금과 은 같은 귀금속으로 바꾸어 준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성 격을 갖는 지폐 릴 태환 지폐라고 부른다.

일반적 지불수단으로써 태환의 지폐의 위치가 공고해지면서 실제로 태환을 요구하는 사람은 극히 드물어졌다. 이에 따라 금이나 은으로 교환해 준다는 약속이 딸리지 않은 불환 지폐가 등장하게 되었다. 한낱 종이 조각에 불과한 불환 지폐가 화폐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정부가 이것의 가치를 보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화폐는 정부가 법적으로 그 가치를 보증한다는 뜻에서 법화라고 부르게 된다. 결국 법화는 모든 사람들이 가치가 있다고 믿기로 약속했기 때문에 가치를 가진다고 볼 수가 있는데 이것은 사회적 약속의 산물이자 신용의 산물인 것이다.

근래에 오면서 금융제도가 점점 발달함에 따라서 법화뿐만이 아니라 수표나 어음이 매개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뒤를 이어서 신용카드가 등장해 법화나 수표를 대신하는 편리한 지불수단으로 자리를 잡고 최근에는 전자화 폐등 다양한 지불수단이 등장하여 지갑 대신에 자기 가상 계좌의 번호와 비밀번호만 기억하면 모든 것을 지불할 수 있다는 사회로 나갈 수가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3편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

댓글